청소기의 먼지 센서는 어떻게 작동하나요?
청소기의 먼지 센서는 청소기의 흡입구로 들어오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나 이물질의 양을 감지하는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청소기의 성능을 최적화하거나, 사용자가 청소가 충분히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먼지 센서의 작동 원리는 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1. 광학식 먼지 센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식으로, 적외선 LED나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빛을 발사하고,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먼지가 빛을 산란시키는 정도를 검출합니다.
센서 내부에 광센서(포토다이오드 등)가 배치되어 있어 산란된 빛의 양을 측정하는데, 먼지가 많을수록 산란 빛이 많아져 그 신호를 센서가 감지합니다.
이 신호를 청소기에 전달해 먼지 농도를 판단합니다.
2. 전기적 방식 먼지가 공기 중에 있을 때, 전기전도도나 정전용량 등이 변하는 특성을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먼지가 센서 주변의 전기장, 정전기장에 영향을 주어 센서가 먼지량을 간접적으로 파악하게 됩니다.
다만 이 방식은 광학식보다 민감도가 떨어지는 편입니다.
3. 기타 방식 광학식과 전기식 외에 음향 센서나 미세한 진동을 감지하는 방식 등 다양한 형태가 시도되고 있으나,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광학식 센서가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청소기의 먼지 센서는 적외선 혹은 레이저 빛을 이용해 먼지 입자에 의한 빛 산란을 측정함으로써 먼지의 양을 감지합니다.
센서가 감지한 먼지량 정보를 바탕으로 청소기의 흡입력을 자동 조절하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가 청소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